반응형 천문학25 흑점이 검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1. 흑점, 플레어, 태양풍 1. 흑점이란 무엇인가? 흑점은 가시광선으로 보았을 때, 태양의 검은 반점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흑점은 두 가지 물리적 성분을 갖는다. 하나는 본그림자로 작고 어두우며 특징이 없는 핵이다. 다른 하나는 반그림자로 크고 밝은 주변 부분을 의미한다. 반영 안은 자전거 바퀴의 살처럼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는 은은한 필라멘트와 같다. 흑점들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며 무리 지어 형성되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흑점들이 지구보다 크다. 흑점은 아주 강력한 자기 현상이 일어나는 지점이다. 가시광선으로 보았을 때는 고요해 보이지만, 자외선과 엑스선으로 보면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생산하여 내보내고 있을 뿐 아니라 강력한 자기장이 주변과 내부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흑점은 왜 검게 보일까?.. 2023. 2. 6. 밤하늘의 별들이 빛나는 이유에 관해서 1. 태양 안에서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지금처럼 태양이 빛날 수 있을까? 잠시 동안 태양은 핵융합 없이도 빛날 수 있다. 처음에 태양은 많은 양의 물질이 중력의 공통 중심으로 떨어지면서 형성되었다. 물질이 압축되어 가스가 밀집된 구형으로 뭉치면서 아주 뜨거워져 열과 빛을 방출했다. 다시 말해 태양은 핵융합이 시작되기 전부터 빛나기 시작했다. 만약 태양 안에서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태양의 가스가 붕괴되고 압축되면서 에너지를 생성하기를 계속할 것이며 이런 일은 태양이 한 점으로 축소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한 에너지의 생성은, 19세기의 윌리엄 톰슨 켈빈 경과 헤르만 폰 헬름홀츠에 의해 처음 계산되었다. 그 결과는 태양을 현재의 광도로 수백만 년간 빛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2023. 2. 6. 제일 처음 별까지의 거리는 어떻게 측정했을까? 1.북극성 1. 북극성이란? 북극성은 천구의 북극, 다시 말해 지구의 자전축이 가리키는 지점 가까이 있는 별을 일컫는다. 현재 그리고 지난 수 세기 동안 북극성이라 불리는 세페이드 변광성이 천구의 북극에 매우 가까이 있어 북극성의 역할을 훌륭히 해왔다. 그러나 지구의 자전축이 가리키는 방향은 수천 년이 지나면 바뀌게 된다. 수천 년 전 고대 이집트 문명이 번영하던 때의 북극성은 용자리에 있는 어두운 별 투반이었다. 그 당시와 오늘날 사이의 수 세기 동안 북극성이라 부를 만한 별은 존재하지 않았다. 2. 남극성도 있을까? 현재 천구 남극 가까이에는 눈에 띄는 밝은 별이 없으므로 남극성이라 부를 만한 별이 없다. 천구 남극은 가까이 있는 여러 성군이나 별들을 이어서 삼각형을 만든 다음 그 상대적인 위치 관계.. 2023. 2. 6. 반짝반짝 작은별, 별의 천문학적 의미 아기 때 부터 반짝반짝 작은 별이라는 노래를 수도 없이 부르면서 자라왔는데 그럼 가장 기초적인 별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보면 별은 그 중심핵 속에서 일어나는 핵융합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며 작렬하는 가스 덩어리다. 우주에서 볼 수 있는 빛은 대부분 별들이 만들어낸 것이다. 1. 하늘에는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는가? 지상에서 간섭하는 불빛이 없다고 가정할 때, 시력이 좋은 사람이라면 밤하늘에서 한 번에 4000개 정도의 별을 볼 수 있다. 남반구와 북반구 모두를 포함하면, 8000개 정도의 별을 볼 수 있는 셈이다.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사용할 경우 볼 수 있는 별의 수는 확연히 늘어난다. 우리은하 안에만 해도 1000억개 이상의 별들이 있고, 관측 할 수 있는 우주의 범위 내에는 적어도 이 숫자의 10억 배가 넘.. 2023. 2. 5.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